온라인 계산 도구
노점온도, 엔탈피, 상대습도, 습구온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확인하세요
원하는 상태량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차트에서 점을 클릭한 후 편집하세요.
두 개의 서로 다른 상태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교차점이 계산됩니다.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는 공기의 열역학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표입니다. 건구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 엔탈피, 습구온도, 비체적 등의 상태량들이 하나의 차트에 표시되어 공기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주로 HVAC(공조) 시스템 설계, 건물 환경 관리, 공정 설계 등에서 공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고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건구온도(Dry Bulb Temperature): 일반적인 온도계로 측정하는 공기의 실제 온도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온도와 같습니다.
습구온도(Wet Bulb Temperature): 물로 적신 천을 온도계에 감싸고 공기 중에서 회전시켜 측정한 온도입니다. 증발 냉각 효과로 인해 건구온도보다 낮게 나타나며, 공기의 습도가 높을수록 건구온도와의 차이가 줄어듭니다.
습구온도는 공조 시스템에서 냉각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현재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해당 온도에서 포화될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온도가 변하면 상대습도도 변합니다.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건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의 질량을 나타냅니다. 단위는 g/kg 또는 kg/kg을 사용하며, 온도와 무관하게 수증기량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0°C에서 상대습도 50%인 공기와 30°C에서 상대습도 50%인 공기는 절대습도가 다릅니다.
엔탈피(Enthalpy)는 공기의 총 열에너지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건공기의 현열과 수증기의 잠열을 합한 값으로, 단위는 kJ/kg을 사용합니다.
공조 시스템에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엔탈피가 높을수록 공기 중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습공기선도에서 등엔탈피선은 대각선으로 그어져 있으며, 같은 엔탈피를 가진 공기 상태들을 연결합니다.
이슬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는 현재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포화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건물의 벽면이나 창문에서 결로가 생기는지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실내 온도가 이슬점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야 결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습공기선도에서 이슬점온도는 수평선(등절대습도선)을 따라 포화선과 만나는 점의 온도로 찾을 수 있습니다.
비체적(Specific Volume)은 공기 1kg이 차지하는 부피를 나타내며, 단위는 m³/kg을 사용합니다.
공기밀도(Air Density)는 공기 1m³의 질량을 나타내며, 단위는 kg/m³을 사용합니다.
두 값은 서로 역수 관계입니다: 공기밀도 = 1 / 비체적
온도가 높아지거나 습도가 높아지면 공기밀도는 감소하고 비체적은 증가합니다. 이는 공조 시스템의 팬 선정이나 덕트 설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네, 브라우저의 인쇄 기능(Ctrl+P 또는 Cmd+P)을 사용하여 고화질 PDF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저장 방법:
네, 이 온라인 습공기선도 도구는 완전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가입이나 결제 없이 모든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 연구, 업무 등 어떤 목적으로든 사용하실 수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모든 최신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브라우저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데스크톱에서 더 정확한 조작이 가능합니다.